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몇 년 전, 저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처음으로 '루나'라는 스테이블코인을 접했습니다. 다른코인의 가격이 롤러코스터처럼 오르내리는 가운데, USDC는 단 1달러의 가치를 꾸준히 유지했습니다. "어떻게 이런 안정성이 가능할까?" 궁금증이 생겼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루나사태'가 일어났고, 신뢰할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 이제와서 스테이블 코인이 핫한데 과연 어떻게 풀어나가려고 하는걸까요? 그 답은 스테이블코인의 규제와 담보 구조에 있었습니다. 이제 미국은 지니어스 법안을 통해 이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 금융의 핵심으로 만들려 하고 있습니다. 이 법안은 단순히 암호화폐의 규제를 넘어, 미국 달러의 글로벌 패권을 디지털 세계로 확장하려는 야심 찬 계획입니다.

     

    이 글에서는 지니어스 법안의 핵심과 그로 인해 변화할 금융 생태계를 알기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이 무엇인지, 누가 혜택을 받는지, 그리고 우리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같이 알아봅시다.

     

     

     

     

     

     

    지니어스 법안이란?

    지니어스 법안은 스테이블코인을 미국 달러(USD)에 1:1로 연동, 이를 결제와 금융 시스템에 통합하려는 법안입니다.이 법안의 목표는 간단합니다. 달러 기반 디지털 자산을 정착시키고, 미국 달러의 세계적 위상을 강화하는 것.하지만 그 이면에는 복잡한 규제와 기회가 얽혀 있습니다.

     

    주요 내용

    목적:스테이블코인을 합법적 결제 수단으로 인정하고,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서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게 함.

     

    규제 요건:

    발행사는 100% 담보(현금 또는 단기 미국 국채)를 보유해야 함.

    자금세탁방지(AML) 및 고객신원확인(KYC) 준수.

    정기 감사와 투명한 자금 공개.

     

    특징:

    미국 정부나 연준(Fed)이 직접 발행하지 않음. 민간 기업(예: 써클, 페이팔)이나 은행(예: JPMorgan)이 발행.

    발행사 파산 시, 스테이블코인 보유자는 슈퍼 우선권으로 자산 환매 보장.

    이 법안은 스테이블코인을 단순한 암호화폐가 아닌, 디지털 달러로 재정의하며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통화량을 늘릴까?

    스테이블코인과 통화량 증가의 차이를 이해하는 건 중요합니다.

     

    스테이블코인: 1코인(예: 1 USDC)은 1달러(현금 또는 단기 국채)로 뒷받침됩니다. 즉, 새로운 돈을 찍어내는 게 아니라 기존 달러를 디지털 형태로 전환하는 것. 통화량에는 영향 없음.

     

    통화량 증가: 연준이 양적완화를 통해 달러를 추가 발행하면 전체 돈의 양이 늘어납니다. 스테이블코인은 이런 방식과 달리 효율적인 결제/송금 수단으로 작동합니다.

     

    준비금은 현금? 국채?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현금 또는 단기 미국 국채(만기 1~3년)를 준비금으로 보유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써클의 USDC는 약 70% 국채, 20% 현금, 10% 현금성 자산(2025년 기준)으로 구성됩니다. 왜 국채일까요? 안전성과 유동성이 높고, 3~4% 이자로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제3자 감사(예: Grant Thornton)가 이를 투명히 검증합니다.

     

     

     

     

    아무나 스테이블코인 발행 가능?

    이론상 100% 담보, AML/KYC, 정기 감사 요건을 충족하면 어떤 기업이든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소규모 스타트업은 자본력과 규제 준수 비용 때문에 진입이 어렵고, 써클, 페이팔, JPMorgan 같은 대기업이 시장을 주도할 가능성이 큽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왜 오를까?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은 암호화폐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비트코인(BTC): 디지털 금으로 불리며, 인플레이션 헷지와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기.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커지면서 DeFi에서 BTC를 담보로 한 대출 수요가 증가합니다.

     

    이더리움(ETH): 대부분 스테이블코인(USDC, USDT)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ERC-20 표준으로 운영됩니다. 스테이블코인 거래가 늘면 이더리움 네트워크 사용량이 증가하고, 가스비(수수료) 수요가 올라 가격이 상승합니다.

     

    예를 들어, USDC 100달러를 전송할 때 네트워크가 한가하면3달러 혼잡할때는30달러 상당의 이더리움 수수료가 필요합니다. 

    이더리움 기반 스테이블코인 운영 방식

    이더리움 기반 스테이블코인(예: USDC, USDT)은 ERC-20 스마트 컨트랙트로 발행됩니다. 운영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행: 써클이 1 USDC당 1달러를 예치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로 코인 생성. 소량 ETH(가스비) 필요.

     

    유통: 거래소(코인베이스)나 월렛(메타마스크)에서 거래. 전송 시 ETH로 가스비 지불.

     

    사용 사례: 결제(PYUSD), DeFi(Aave 예치), 송금(RLUSD).

     

    소각: 사용자가 코인을 반환하면 발행사가 달러로 환매 후 소각.

     

    ETH 필요 여부: 발행 시 소량 ETH(수백~수천 달러)가 필요하며, 사용자는 거래마다 ETH로 가스비를 지불합니다. 단, DAI처럼 ETH를 담보로 한 스테이블코인은 지니어스 법안의 현금/국채 요건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

     

     

    누가 이 게임의 주인공일까?

     

    이제 스테이블코인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았으니, 누가 이 시장을 이끄는지 보겠습니다. 써클(Circle)의 투명한 감사 보고서에 감탄했던 기억이 나네요. 지니어스 법안은 이런 기업들에게 날개를 달아줄 것입니다.

     

    주요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써클(Circle): USDC 발행, 100% 담보(70% 단기 국채, 20% 현금)로 규제 준수 선두주자.

     

    팍소스(Paxos): USDP, BUSD 발행, 뉴욕금융서비스국(NYDFS) 규제 준수.

     

    페이팔(PayPal, PYPL): PYUSD로 결제 플랫폼 확장.

     

    리플(Ripple): RLUSD 발행, 국가 신탁은행 인가 준비 중.

     

    JPMorgan Chase(JPM): JPMD로 전통 금융과 스테이블코인 연결.

     

    한국 기업: 카카오페이, 다날, 위메이드 등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인프라로 수혜 가능.

     

    참고: 테더(USDT)는 준비금 투명성 문제로 지니어스 법안 요건 충족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2028년까지 유예기간이 있지만, USDC나 USDP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니어스 법안이 바꿀 분야

    지니어스 법안은 금융과 블록체인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됩니다.

     

    수혜 분야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써클(USDC), 페이팔(PYUSD), 팍소스(USDP).

     

    규제 준수 거래소: 코인베이스, 크라켄.

     

    결제 네트워크: 비자, 마스터카드(USDC 통합).

     

    블록체인/DeFi: 이더리움, 체인링크, 위메이드.

     

    한국 핀테크: 카카오페이, 헥토파이낸셜, NHN KCP.

     

    국채 시장: 단기 국채 수요 증가(TLT ETF).

     

    피해 가능 분야

    비규제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 투명성 문제로 점유율 하락.

     

    비규제 거래소: KuCoin, BitMEX.

     

    전통 금융: 스위프트 관련 은행(BAC), 신용카드(AXP).

     

    한국 전통 금융: 신한지주, KB금융.

     

    소규모 블록체인 스타트업: 규제 준수 비용 부담.

     

    대비 전략: 투자자와 기업을 위한 조언

     

    투자자

    수혜주 투자: 써클, 페이팔(PYPL), 코인베이스(COIN), 비자(V), 이더리움(ETH), 카카오페이(377300).

    위험 회피: USDT → USDC/USDP 전환, 비규제 거래소(Binance) → 코인베이스 이동.

    국채 헷징: 단기 국채 ETF(TLT)로 스테이블코인 담보 수요 대비.

     

    기업

     

    규제 준수: AML/KYC, 100% 담보, 정기 감사 준비.

    스테이블코인 통합: 결제/송금 시스템에 USDC, PYUSD 도입.

     

    수혜가능 주식 모음

     

    기업명 티커 시장 규제 준수 여부 연관성

    기업명 티커  시장 규제 준수 여부 연관성
    써클(Circle) CRCL NYSE 준수 USDC 발행, 지니어스 법 요건 충족
    팍소스(Paxos) 비상장 - 준수 USDP, BUSD 발행, NYDFS 규제 준수
    리플(Ripple) 상장 예정 미국(예정) 준수 가능 RLUSD 발행, 국가 신탁은행 인가 신청
    코인베이스(Coinbase) COIN 나스닥 준수 USDC 거래 플랫폼, 써클 파트너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MSFT 나스닥 간접 관련 블록체인 서비스(Azure),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 지원
    엔비디아(NVIDIA) NVDA 나스닥 간접 관련 AI/블록체인 융합, DeFi 데이터 처리 수요
    JPMorgan Chase JPM NYSE 준수 JPMD 스테이블코인 발행, 전통 금융 연결
    iShares Treasury ETF TLT 나스닥 간접 관련 국채 수요 증가로 안정적 헷징 자산
    아마존(Amazon) AMZN 나스닥 준수 가능 스테이블코인 발행 검토, 결제 혁신
    월마트(Walmart) WMT NYSE 준수 가능 팍소스 협력, 스테이블코인 결제 도입 검토
    카카오페이(KakaoPay) 377300 KOSPI 준수 가능 원화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 수혜
    다날(Danal) 064260 KOSDAQ 준수 가능 블록체인 결제 서비스, 원화 스테이블코인 연계
    더즌(Thezone) 033830 KOSDAQ 준수 가능 블록체인 데이터 서비스,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참여
    NHN KCP 060250 KOSDAQ 준수 가능 전자결제, 원화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한국정보인증(KICC) 053300 KOSDAQ 준수 가능 보안 인증, 스테이블코인 거래 보안 제공
    우리기술투자(Woori) 041190 KOSDAQ 간접 관련 블록체인 투자, 위믹스3.0으로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연계
    쿠콘(Kucon) 294570 KOSDAQ 준수 가능 데이터/페이먼트 서비스, 원화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애니모카브랜즈(Animoca Brands) 비상장 - 간접 관련 블록체인 투자,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확장
    페이팔(PayPal) PYPL 나스닥 준수 PYUSD 발행, 스테이블코인 결제 플랫폼 확장
    스퀘어(Block Inc.) SQ 나스닥 준수 가능 Cash App으로 스테이블코인 결제 도입 가능
    비자(Visa) V NYSE 준수 USDC 결제 지원,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 통합
    마스터카드(Mastercard) MA NYSE 준수 스테이블코인 송금 솔루션, 결제 네트워크 확장
    체인링크(Chainlink) 비상장(LINK) - 간접 관련 블록체인 오라클, 스테이블코인 스마트 컨트랙트 지원
    IBM IBM NYSE 간접 관련 Hyperledger로 스테이블코인 정산 솔루션 제공
    글로벌 X Blockchain ETF BKCH 나스닥 간접 관련 블록체인/스테이블코인 섹터 분산 투자
    미투온(Mituon) 201490 KOSDAQ 준수 가능 USDC 연동 카지노 플랫폼,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수혜
    헥토파이낸셜(Hecto) 234340 KOSDAQ 준수 가능 스테이블코인 결제 서비스, 아마존/메타 협력
    LG CNS 064400 KOSPI 준수 가능 블록체인 결제 솔루션, 원화 스테이블코인 참여 가능
    위메이드(Wemade) 112040 KOSDAQ 준수 가능 위믹스3.0으로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
    한글과컴퓨터(Hancom) 030520 KOSDAQ 준수 가능 블록체인 인증/보안, 원화 스테이블코인 보안 솔루션
    SBI핀테크솔루션즈(SBI FinTech) 950110 KOSDAQ 준수 가능 결제/송금 솔루션, 원화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스텔라(Stellar) 비상장(XLM) - 준수 가능 스테이블코인 송금 네트워크, 글로벌 협력 가능
    알케미페이(Alchemy Pay) 비상장(ACH) - 준수 가능 스테이블코인 결제 게이트웨이, 비자/마스터카드 협력
    콘센시스(ConsenSys) 비상장 - 간접 관련 메타마스크로 스테이블코인 거래 인프라 제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