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에코프로 비엠

    1️⃣기업개요

     

    에코프로비엠은 2차 전지 핵심 소재인 하이니켈 양극재를 제조·판매하는 기업으로, 전기차(EV), 전동공구(PT),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 제품을 공급합니다. 2016년 에코프로의 2차 전지 소재 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글로벌 양극재 시장에서 2년 연속 1위(시장 점유율 기준)를 달성한 대기업입니다.

     

    설립연도 및 지역: 2016년,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상장시장: KOSDAQ, 티커 247540
    산업: 2차 전지 소재, 양극재 제조
    주요 제품: 하이니켈 NCA/NCM 양극활물질, 단결정 고전압 미드니켈, LFP, Sodium 등
    주요 고객/파트너: SK온, 삼성SDI, 폭스바겐, 포드, BMW 등


     

     

    2️⃣ 에코프로비엠의 기술과 경쟁력

    에코프로비엠은 왜 주목받을까요?

    ✅ 플랫폼 강점

    하이니켈 기술 선도: NCA, NCM 양극재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 6위, 하이니켈 양극재 시장 선두.

    제품 포트폴리오: 단결정 고전압 미드니켈, LFP, Sodium, NCMA 등으로 전기차 및 ESS 시장 대응.

    글로벌 확장: 헝가리 데브레첸 공장(연산 5.4만 톤, 2025년 4분기 양산 예정) 및 북미 공장(SK온-포드 합작)으로 IRA, CRMA 대응.

    고객 다변화: SK온, 삼성SDI 외 신규 OEM 및 배터리 제조사와 품질 평가 및 수주 협의 중, 2025년 상반기 내 가시적 성과 기대.

    전고체 배터리 대응: 2024년 고체 전해질 파일럿 라인 구축 완료, 2027년 양산 목표. 하이니켈 NCA/NCM 및 NCMA 양극재는 전고체 배터리의 고에너지 밀도 요구를 충족하며, SK온, 삼성SDI와 협력해 기술 개발 중.

    ✅ 차별화 포인트

    원가 경쟁력: 황산메탈 제련 공정 내재화 및 인도네시아 니켈 수직 계열화로 비용 절감.

    유럽 시장 강점: 매출의 약 70%가 유럽에서 발생, 2025년 2분기 유럽 전기차 판매량 증가(33% YoY)로 수혜.

    ESG 대응: 헝가리 및 캐나다 공장 신재생에너지 사용 MOU 체결, 탄소 배출 저감.

    전고체 배터리 기술: 하이니켈 NCA/NCM은 전고체 배터리의 고전압 환경에 적합하며, NCMA는 계면 안정성을 강화해 상용화 가능성 확대.

    ✅ 경쟁 우위

    시장 점유율: 글로벌 양극재 시장 2년 연속 1위, 하이니켈 NCA/NCM 기술로 차별화.

    파트너십: SK온, 삼성SDI와 안정적 공급망, 폭스바겐(ID.3, ID.4, ID.7), 포드(Puma Gen-E) 수주.

    전고체 배터리 선점: 2024년 파일럿 라인 구축 완료, 2027년 양산 목표로 삼성SDI, SK온과 협력. 전고체 배터리 시장은 2030년 100조 원 규모로 전망.

    3️⃣ 에코프로비엠 매출 한눈에 보기

    에코프로비엠은 전기차, 전동공구, ESS용 양극재 판매로 매출을 창출하며, 2024년 실적 부진에도 2025년 회복세가 기대됩니다. 아래 표는 2024년 실적과 2025년 전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매출 비중 및 전망

     

     

     

    2024년 성과: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 및 메탈 가격 하락으로 매출 60% 감소, 영업손실 기록.

    2025년 1분기 실적: EV 및 PT 출하량 증가, 재고평가충당금 환입(307억 원)으로 흑자 전환.

    2025년 2분기 실적: 매출 24% QoQ 증가, 영업이익 12배 급증. 주요 OEM 신차 효과 및 PT 교체 수요 기여.

    2025년 전망: 유럽 EV 시장 회복(2분기 판매량 +33% YoY), 헝가리 공장 가동, LFP 샘플 공급,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성과로 매출 및 수익성 개선.


     

    4️⃣ 에코프로비엠 주가 전망

    ✅ 최근 주가 흐름

    52주 최고가: 19만4500원 

    52주 최저가: 8만1100원 

    현재가: 12만4500원 (2025년 8월 5일 기준, +16.94% 당일 상승)

    시가총액: 약 12조 원 

    ✅ 하락 요인

    시장 둔화: 2024년 전기차 수요 성장 둔화 및 메탈 가격 하락으로 재고평가충당금 설정(3분기 188억 원 손실).

    고객사 수요 부진: SK온 NCM 수요 회복 지연, 삼성SDI NCA 판매량 감소(유럽 EV 시장 부진 및 HEV/PHEV 비중 증가).

    밸류에이션 부담: 2025년 EV/EBITDA 106배, 경쟁사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

    ✅ 반등 요인

    유럽 시장 회복: 2025년 2분기 유럽 전기차 판매량 31만6000대(+33% YoY), 폭스바겐, 포드 신차 출시로 수요 증가.

    신규 수주 기대: 연내 2건의 신규 OEM 수주 가능성, 투자 심리 개선 전망.

    정책 수혜: 미국 중국산 흑연 반덤핑 관세로 반사 수혜, 유럽 CO2 배출 규제 강화로 수요 확대.

    ✅ 차트 분석

    월봉: 하락세 반전, 반등 시 15만 원 저항선 테스트 가능.


    주봉: 60주 이동평균선 저항 테스트 진행중(월봉 15선 참조)


    일봉: 상승추세 이어나가는중


    5️⃣ 투자 시 유의할 점

    ✅ 장점

    시장 리더십: 글로벌 양극재 시장 1위, 하이니켈 기술로 경쟁사 대비 우위.
    성장성: 2025년 유럽 및 북미 수요 회복, LFP 등 신규 시장 진입으로 매출 성장 기대.

    ✅ 단점

    수익성 변동성: 2024년 적자 지속, 3분기 영업손실 412억 원으로 컨센서스 하회.

    경쟁 심화: 중국 CATL, LG화학 등과의 가격 경쟁 및 기술 경쟁 심화.
    정책 리스크: 미국 IRA 세액공제 축소 시 북미 수요 둔화 가능성.


    6️⃣ 결론

    에코프로비엠은 하이니켈 양극재 시장의 선도주자로, 2024년 전기차 시장 둔화로 실적 부진을 겪었으나, 2025년 유럽 시장 회복, 헝가리 공장 가동, 신규 수주로 턴어라운드가 예상됩니다. 현재 주가는 52주 최저가 대비 반등 중이나, 단기 변동성과 높은 밸류에이션을 고려해야 합니다.

     

    위험 선호 투자자: 11~12만 원 지지선에서 분할 매수, 13만원 돌파 시 추가 매수.
    안정형 투자자: 10만원선 1차 매수, 9만원 이하에서 2차 매수 고려.

    2025년 하반기 유럽 수요 회복과 신규 수주 성과가 주가 반등의 핵심 트리거가 될 것입니다. 투자 시 업황 변동성과 고객사 의존도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