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기업개요

    삼성SDI는 삼성그룹의 배터리 및 에너지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리튬이온 배터리와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를 중심으로 전기차(EV),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IT 기기용 배터리를 생산합니다. 1970년 설립 이후 디스플레이 사업에서 배터리로 사업을 확대하며 글로벌 EV 배터리 시장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 EV 배터리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전고체 배터리 기술로 미래 성장을 모색 중입니다.

     

    ● 설립연도 및 지역: 1970년,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 상장시장: KOSPI, 티커 006400

    ● 산업: 2차 전지 소재 및 배터리 제조, 에너지 저장 시스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 주요 제품: 리튬이온 배터리(원통형·각형·파우치형), 전고체 배터리(ASB), 고속 충전 배터리,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

    ● 주요 고객/파트너: 재규어랜드로버(JLR), 현대자동차·기아, 스텔란티스, GM(합작법인), BMW, 폭스바겐, Tesvolt

     

     

     

    2️⃣ 삼성SDI의 기술과 경쟁력

     

    삼성SDI는 왜 주목받을까요?

     

    ✅ 플랫폼 강점

    ● 전고체 배터리 선도: 2027년 양산 목표로 에너지 밀도 900Wh/L 달성, 600마일(약 966km) 주행거리, 9분 충전(80% 용량), 20년 수명 기술 개발. No-TP(화재 전파 방지) 기술과 Cell-to-Pack 적용으로 안전성 강화.

     

    ● 배터리 포트폴리오: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 양산 시작(2025년 3월), 로봇·자율주행차용 고성능 배터리 개발. 고용량 재료로 에너지 밀도 향상.

     

    ● 글로벌 확장: 미국 인디애나 GM 합작 공장(2027년 가동, 투자 3.5조 원), 코코모 스텔란티스 합작 공장(2025년 1분기 가동). 유럽 InterBattery 2025 참가로 시장 확대.

     

    ● AI 시대 대응: AI 기반 로봇 배터리 개발(현대·기아와 협력), ESS 공급 확대(Tesvolt와 파트너십).

     

    ● 수주 경쟁력: JLR '톱 파트너' 선정, 유럽 상용차 배터리 공급. 2025년 ESS 매출 성장 기대.

     

    ✅ 차별화 포인트

    ● 기술 혁신: 은 기반 전고체 배터리로 에너지 밀도 2배, 안전성 향상. AI 시대 맞춤형 배터리 로드맵 공개(InterBattery 2025).

     

    ● ESG 대응: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 재생에너지 활용 공장 운영. 2025년 지속가능성 성과 강조.

     

    ● 시장 선점: 전고체 배터리 샘플 고객사 공급, 2030년 시장 규모 100조 원 이상 전망.

     

    ✅ 경쟁 우위

    ● 시장 점유율: 글로벌 EV 배터리 상위권, 2030년 배터리 시장 20% 성장 예상. 원통형 배터리 시장 17.9% CAGR 성장(2025~2030).

     

    ● 파트너십: GM·스텔란티스 합작, 현대·기아 로봇 배터리 개발로 안정적 공급망 구축.

     

    ● 기술 혁신: 초고속 충전 배터리, AI 적용 배터리로 차세대 시장 대응.

     

    3️⃣ 삼성SDI 매출 한눈에 보기

     

    삼성SDI는 EV 배터리와 ESS 판매로 매출을 창출하며, 2025년 EV 시장 둔화로 적자를 기록했으나 ESS와 전고체 배터리 기술로 회복세를 기대합니다. 아래 표는 2025년 실적과 전망을 정리해본 것입니다.

     

     

    ✅ 매출 비중 및 전망

     

    ● 2024년 실적: 전기차(EV) 시장 캐즘과 리튬·니켈 등 메탈 가격 하락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 ESS 부문은 안정적 성장 유지.

    ● 2025년 1~2분기 실적: EV 수요 부진 지속, 고객사 재고 조정 영향으로 적자 기록. 마진율은 12%로 하락.

    ● 2025년 전망: ESS 부문 성장, 미국 GM·스텔란티스 합작 공장 가동, 전고체 배터리(ASB) 기술 진전으로 매출 및 수익성 회복 예상.

    ● 2030년 목표: 전고체 배터리 양산(2027년 목표)과 EV·ESS 시장 확대를 통해 매출 32조 원 이상 목표.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 200조 원 이상 전망.

     

     

    4️⃣ 삼성SDI 주가 전망

    ✅ 최근 주가 흐름

    ● 52주 최고가: 393,500원

    ● 52주 최저가: 157,700원

    ● 현재가: 221,000원 (2025년 8월 12일 기준, -1.78% 당일 하락)

    ● 시가총액: 약 17.8조 원 (2025년 8월 12일 기준)

     

    ✅ 하락 요인

    ● 시장 둔화: 2025년 EV 수요 정체와 중국 경쟁 심화로 매출 하락, 영업손실 확대.

    ● 수주 지연: 고객 재고 조정과 반도체 수출 규제로 HBM 매출 감소.

    ※HBM은 삼성전자가 생산하지만, 삼성SDI의 전자재료 사업부가 연관되어 있어 매출에 영향을 미침(상대적으로 제한적)

     

    ✅ 반등 요인

    ● ESS 수요 증가: 귀금속·우라늄 ETF 성장, AUM 40조 원 돌파로 안정적 매출 기반.

    ● 정책 수혜: 미국 IRA 규제 강화로 북미 JV 혜택, 유럽 CO2 규제 지원.

    ● 전고체 배터리 모멘텀: 2027년 양산 목표, 2030년 시장 선점 전망(시장 규모 200조 원 이상).

    ● 유상증자 효과: 2025년 3월 2조 원 유상증자로 GM JV 투자, 재무 강화.

     

     

    ✅ 차트 분석

    ● 월봉: 하락 추세에서 반등 시도, 250,000원선 저항 예상

     

    ● 주봉: 상승추세 보이나, 볼린저 밴드 상단으로 단기 하락 조심

     

    ● 일봉: 200일 이동평균선 돌파, 225,000원 돌파 시 추가 상승 기대.

     

     

     

     

    ✅ 재무구조(25년2분기 기준)

    ● 총자산: 45조 원 (추정, Q2 기준)

    ● 총부채: 20조 원 (추정)

    ● 자본총계: 25조 원 (총자산 - 총부채)

    ● 부채비율: 80% (총부채 / 자본총계 × 100%)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5조 원 (추정)

    ● 이익잉여금: 10조 원 (추정)

     

     

    5️⃣ 투자 시 유의할 점

    ✅ 장점

    ● 시장 리더십: 글로벌 EV 배터리 상위권, 원통형·전고체 배터리 기술 우위, 2030년 53조 원 시장 목표.

    ● 재무 안정성: 2025년 유상증자 2조 원으로 JV 투자, 부채비율 안정화.

    ● 성장성: 전고체 배터리 2027년 양산, ESS·로봇 배터리 신시장 개척.

     

    ✅ 단점

    ● 수익성 변동성: 2025년 1~2분기 적자 지속(총 8,000억 원 손실), EV 둔화 영향.

    ● 경쟁 심화: CATL, LG에너지솔루션, 중국 업체와 가격 경쟁.

    ● 정책 리스크: 수출 규제·IRA 미충족 시 북미 수주 지연 가능성.

    6️⃣ 결론

    삼성SDI는 리튬이온과 전고체 배터리를 중심으로 글로벌 EV·ESS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5년 EV 캐즘과 중국 경쟁으로 실적 부진을 겪었으나, ESS 성장, GM·스텔란티스 합작 공장 가동, 전고체 배터리 기술 진전으로 턴어라운드가 예상됩니다. 특히,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은 고에너지 밀도 적용으로 장기 성장 동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현재 주가는 52주 최저가 대비 반등 중이나, 단기 변동성과 중국 리스크를 고려해야 합니다.

     

    ● 위험 선호 투자자: 220,000~230,000원 지지선에서 분할 매수, 250,000원 돌파 시 추가 매수.

    ● 안정형 투자자: 200,000~210,000원 1차 매수, 190,000원 이하에서 2차 매수 고려.

    반응형